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9)
[Java] 객체지향 - 상속 상속이란 객체는 속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상속이란 속성과 기능을 전달하여 상속을 받는 클래스가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종의 분신을 만드는거라고 보면 된다. 상속 관계를 보여주는 표현 같은 칸에 있는 클래스 표현은 모두 같은 의미이다. 클래스 표현 내용 기본 클래스(Base Class) 슈퍼 클래스(Super Class) 부모 클래스(Parent Class) 상위클래스... -상속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추상화된 객체 ex. 생물, 사람, 휴대폰 유도 클래스(Deviation Class) 하위 클래스(Sub Class) 자식 클래스(Child Class) 파생 클래스... -상속을 받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객체 ex토끼, 홍길동, 갤럭시폰 단일상속 vs 다중상속 자바는 원칙적으로 다중..
[Java][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level2] 피보나치 수 o 요구사항 2이상의 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기 o 코드진행 1. n번째 피보나치 수 계산하기 피보나치 수는 재귀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효율성은 매우 떨어진다. 때문에 문제에서 주어지는 100000이하의 자연수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더러 재귀함수가 재귀함수를 끝없이 호출하는 식으로 되어 메모리가 버티질 못한다 for 문을 사용하면 재귀함수 보다 효율적인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2. 1234567로 나눈 나머지 계산하기 문제에서 1234567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도록 하였으므로 큰 숫자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임의의 숫자 Number를 K로 나눈 나머지는, Number를 더해서 구성..
study management program 스터디 관리 java appliation 스터디 가입, 탈퇴 관리 스터디 참석여부, 과제수행여부, 챕터정리여부 관리 스터디 벌금관리 및 전체현황 관리 깃허브 참고 https://github.com/jonny-ddns/groupStudy_java/tree/main/study_management
[Java][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level1] 3진법 뒤집기 o 요구사항 자연수 -> 3진법 변환 -> 앞뒤 순서 변환 -> 10진법 변환하여 리턴(int) o 코드설계 1. N진법 변환하기 임의의 수 Number를 N진법으로 변환한 수는 Number가 0이 될 때까지 Number를 N으로 나눈 나머지를 각 자릿값으로 나타낸 값과 같다. 이때 나머지는 마지막에 나온 나머지를 첫숫자로 해서 거꾸로 읽어나간다 2. N진법 숫자 10진법 계산하기 N진법 숫자 Number는 뒤에서부터 N의 0제곱, N의 1제곱...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Number가 위치하는 자릿값과 자릿수를 곱하고 모두 더하면 10진법으로 변환된다 o 완성코드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