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기본

(39)
[Java] 예외처리 - 예외 처리하기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은 2가지다. 1) try ~ catch 문으로 처리하는 방법 2) 예외객체를 throws 문으로 전달하는 방법 try ~ catch 문법은 아래와 같다. try{ } 안에 있는 코드를 한 줄 씩 수행하다가 예외가 발생하는 코드를 만나면 catch{ } 문으로 이동한다. 예외를 만나면 그 아래에 있는 코드는 실행되지 못한다. syntax try{ //예외 발생 코드 } catch(예상되는예외객체 변수명){ //예외 발생시 수행되는 코드 } public class NullPointer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test"; String str2 = null; String str2 = "test2"; try ..
[Java] 예외처리 - 예외(Exception)란 에러 vs 예외 에러(Error) 컴퓨터 하드웨어의 오동작 또는 고장으로 인한 오류 프로그래머가 해결할 수 없는 중대한 오류 예외(Exception) 사용자가 잘못 실행하거나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 프로그래머가 해결할 수 있는 가벼운 오류 예외의 종류 예외는 일반예외와 실행예외 2가지로 나뉜다. 일반예외 (Exception) 컴파일러 체크 예외. 자바소스를 컴파일하는 과정에서 문법에 오류 발생 예를들어 Stirng 이라고 작성하는 등 문법에 어긋나는 예외 실행예외 (Runtime Exception) 컴파일 과정에서 예외처리 코드를 검사하지 않는 예외 개발자가 직접 예외처리 코드를 작성해야함 예외 발생시 실행 결과 일반예외 컴파일러가 자바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에서 실패. 프로그램 ..
[Java] 객체지향 - 추상화와 인터페이스 추상화 추상화란 공통적이고 중요한 부분만 추려내어 일반화하는 것을 말한다. 추상화란 구체적이지 않은 개념인 것이다. 자바에서 추상화된 클래스란 구체적이지 않은, 뼈대만 있는 객체를 말한다. 추상클래스 추상클래스는 일반변수, 메서드, 상수 등 모두 가질 수 있다. 단, 메서드 n개 중에서 단 1개라도 추상 메서드가 있다면 추상클래스가 된다. 추상메서드가 되면 abstract 키워드를 사용하여 명시하여야 한다 추상메서드의 선언 예시 public abstract void test(); //중괄호{}가 없어서 메서드가 하는 역할이 없다 public void test(){ //빈칸이긴 하지만 {}가 있다. 즉 body 부분을 가진다 }; 추상클래스의 상속관계 추상클래스 간에도 상속이 가능하다. 일반 클래스와 같은..
[Java] 객체지향 - 상속 상속이란 객체는 속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상속이란 속성과 기능을 전달하여 상속을 받는 클래스가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종의 분신을 만드는거라고 보면 된다. 상속 관계를 보여주는 표현 같은 칸에 있는 클래스 표현은 모두 같은 의미이다. 클래스 표현 내용 기본 클래스(Base Class) 슈퍼 클래스(Super Class) 부모 클래스(Parent Class) 상위클래스... -상속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추상화된 객체 ex. 생물, 사람, 휴대폰 유도 클래스(Deviation Class) 하위 클래스(Sub Class) 자식 클래스(Child Class) 파생 클래스... -상속을 받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객체 ex토끼, 홍길동, 갤럭시폰 단일상속 vs 다중상속 자바는 원칙적으로 다중..